KAILA 협회는 운영위원회를 주축으로 각 분야의 전문위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I 기술적 이해를 위한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관련 학과 교수님들과 법률적 해석과 강의를 위한 현직 변호사님, 그리고 인문학 영역의 교수님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영역이나 IT 영역의 현직 CEO 분들과 전직 기관장 분들께서 협회에 큰 도움을 주고 계십니다.  

KAILA 협회는 AI 이해와 법적 윤리적 활용 역량으로 개인과 기업의 미래를 위한 필수 역량입니다. AI 전문성을 겸비 하고자 하시는각 분야의 전문가 분들의 참여가 가능합니다.

협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도메인 전문가들과 함께 성장하는 단체입니다. 회원 가입을 통해서 AI 교육 및 강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협회의 다양한 교육과 세미나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활발한 회원 활동을 하시는 분들 중에서 협회 분과별 '전문위원' 에 위촉되시면, 공동 도서 및 보고소 집필과 기업 진단, 과제 수행등의 폭 넓은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게 됩니다. [회원 모집은 4월 중으로 공지드릴 예정입니다.] 

협회 KAILA 휘장

KAILA는 Korea AI Literacy Association 의 약칭입니다.

로고의 저울은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우측에 놓인 인간에 가치를 둔 인간중심의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을 표현합니다.

인간을 위한, 인간에 의한, 인간의 AI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AI 리터러시는 인간 중심의 AI를 준비하는 인간의 필수 역량입니다.



기사 및 기고

AI리터러시, 10대 소년 죽음의 경고?

https://www.hani.co.kr/arti/opinion/because/1167257.html

한겨레 원문


AI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고성능 AI의 사회적 문제와 사용자와 AI의 상호작용 이해가 중요하다고 지적된다. 정부와 교육기관은 AI 리터러시 확산에 힘써야 하며, 개인은 AI를 도구로 활용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야 한다.

미국에서 AI 챗봇에 의존해 자살한 10대 소년의 어머니가 개발 업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는 기사가 있었다. 수개월 동안 소년이 의지했던 인공지능, AI 캐릭터(캐릭터.ai)는 소년과 일상을 공유하고 성적 대화까지 나누는 절친한 친구였다고 한다. 소년은 AI와 현실을 벗어나 함께하기를 즐겼고, 결국 AI의 권유로 죽음까지 선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국내 일간지에 또 다른 모습의 기사가 실렸다. 일기 내용에 답변해 주는 AI 서비스가 호응을 얻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마치 우리에게 닥칠 상황을 예언이라도 하는 듯한 메시지로 다가왔다. AI를 가까이서 다뤄야 할 우리의 준비가 시급한 시점임이 분명하다.

높은 성능의 AI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국내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10대 청소년의 딥페이크 사건으로 한 동안 떠들석 했었다. 그 가운데 가해자로 의심되는 10대 청소년은 가족 모두 서둘러 이민을 갔다고 한다. 또 다른 한 청소년은 참고인 신분 조사만으로 아파트투신 소동을 벌였다. 그리고, 교내에서 발생한 딥페이크 사건의 가해 청소년은 ‘선생님이 이뻐서요’라는 이유를 밝히고 검찰에 송치 된 뒤 학교에서 퇴학 조치 당했다.


이 모든 일이 불과 수 개월 사이에 발생한 일들이다. 문제의 발화점에는 생성 AI라는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이 있다. 기술적 개선도 중요하지만, 우리 사회의 준비 부족 또한 중요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높은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을 안전하게 다루기 위한 “AI 리터러시”의 교육과 확산이 시급하다.


생성 AI 로 비롯된 지금의 상황에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이 작용하고 있다.

첫 번째는 그 기술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것이다.

기술 발전에 적정 속도가 있지 않겠지만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속도다. 마치 최초의 자동차가 도로를 달리기 시작 했지만, 운전자에게 면허라는 안전 교육 과정이 없는 상황과 유사하다. 마차 보다 빠르고 견고한 자동차는 미숙한 운전자로 인해 자신과 행인들에게 큰 위협이 되는 것이다. 자동차의 확산을 막지 못한 다면 필요한 운전 기술을 숙지 해야 한다. 그런데 위험한 성능의 AI는 누구에게나 손쉽게 노출되고 있다.

두 번째는 생성 AI 기술은 완벽한 통제가 불가능하다.

지금의 생성형 AI 기술은 인간의 논리적 사고 밖에서 출현했다. “딥러닝(심층신경망)의 추상화 과정에서 발견된 기술적 업적이기 때문이다. 개발자 조차도 기대하지 못한 양적(모델의 크기) 확장으로 발생한 질적(성능) 도약의 결과다. 따라서 적어도 당분간은 완벽하게 통제된 AI의 실현은 어려워 보인다. 기술 영역의 AI 문제는 기술자의 노력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믿음과 인식이 문제 해결을 더디게 하고 있다. 일정 정도 충격에 대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기술 외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세 번째는 기존 AI 교육의 그릇된 방향성이다.

일반적인 AI 교육은 DX(디지털전환)에 기반한 AI역사와 머신러닝, 코딩기술에 치우쳐져 있다. 하지만 대다수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인간과 AI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해다. AI가 어떻게 우리 생활 속에 자리잡게 될 것이며, 어떠한 유익과 해악을 끼칠지에 대한 분별력과 비판적 시각이다. 그 가운데 윤리적 활용과 법적 문제까지 다뤄야 한다. 이러한 융합적 특성은 또 다른 교육 현장의 어려움이다. 컴퓨터 공학이나 교육학 어느 한 쪽에서 다룰 수 없는 경계의 영역이다. 그것이 “AI 리터러시”이다.


해외에서는 AI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빠르게 부각되고 있다. 미국 국가 인공지능자문위원회(NAIAC)는 AI 리터러시를 "AI 도구와 결과물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활용하는 역량"으로 정의하며, 개인이 인공지능의 이점과 위험성을 이해하고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애듀케이션위크에 게제된 글에 의하면 MIT의 신시아 브리젤(Cynthia Breazeal) 교수는 "AI 지니는 이미 병에서 나왔다"며, AI가 사회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기술을 사용할 때 AI 리터러시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이는 교육 현장에서 AI 리터러시 교육이 시급함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AI 시대는 이미 도래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AI 리터러시는 호사 스런 선택이 아니라 절망적인 필수일 수 있다. 정부, 교육기관, 기업 모두가 AI 리터러시 교육과 확산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개인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적응하고, AI를 도구로 활용하여 자신의 삶과 사회를 개선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AI 리터러시는 단 기간에 닥칠 AI 충격을 완충시킬 중요한 과제다.



Seoul, Korea ㅣ Jagok Ro 174-10, GangNam Gu
 Ernest@ailiteracy.or.kr